코로나 19 장기화 및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전 세계는 최악의 인플레이션 상황을 겪고 있다. 이를 잡기 위해 미국 연준은 파격적인 금리 변동을 시행하게 되는데, 5월 초에는 빅 스텝(0.5% p), 6월 중순 자이언트 스텝(0.75% p) 인상 단행 조치이다. 이렇게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가계대출은 이자부담이 커지고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되어 주식시장의 추가 하락 가능성이 커지고 결국 조만간 불황이 닥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앞으로의 경제상황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이는 자이언트 스텝, 빅 스텝 그리고 일반적인 움직임인 베이비스텝까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베이비스텝 의미
기준금리는 통상 0.25%p 기준으로 시장 상황에 따라 인상하거나 인하하는데 이것을 베이비 스텝이라고 한다. 이처럼 0.25% p가 기준금리 변경의 관례가 된 것은 세계가 저성장의 뉴 노멀 시대에 접어들면서 물가나 금리가 하락하는 경우 점진적으로 통화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소폭으로 금리를 변경하는 것이 적정하므로 베이비스텝이 현시대의 가장 적합한 금리 변경 모델이라 여겨져 왔으며 대부분의 금리 변경은 베이비스텝이 일반적이다.
빅 스텝 뜻
하지만 지난 5월 미국은 급격한 물가상승을 잡기 위해 빅 스텝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빅 스텝이란 한 국가의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 p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렇게 큰 폭으로 인상하면 경제에 큰 영향력을 끼치게 되므로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실제로 2000년 이후 22년 만에 처음 시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빅 스텝 인상으로 미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는 기존 0.5% p였다가 1.0% p로 변경되었다.
자이언트 스텝 뜻
빅스텝을 넘어 0.75% p를 한 번에 금리 변동시키는 것으로 미국은 5월 빅 스텝에 이어 한 달 후 6월에 자이언트 스텝까지 시행하게 되었다. 미국 입장에서는 40년 만에 8%대까지 최고치로 오른 물가 상승률을 잡기 위해 과감한 금리 인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 1994년 자이언트 스텝 인상과 미국 리먼사태 당시 자이언트 스텝 인하 이후 처음 시행된 것이다. 결국 현재 미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는 1.75% p로 변경되어 한국의 기준금리와 같은 수준으로 미국의 금리인상이 한번 더 진행된다면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역전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한국에 투자한 외국 자본이 유출되므로 한국은행에서도 양국 간 금리격차를 줄이기 위해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점쳐진다.
2022.06.17 - 신흥국 연쇄 디폴트 위기, 디폴트 뜻
2022.05.31 -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란 무엇이며 투자방향은?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바우처 신청, 올해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한시 지원확대 (0) | 2022.07.06 |
---|---|
스태그플레이션 뜻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포함) (0) | 2022.07.03 |
신흥국 연쇄 디폴트 위기, 디폴트 뜻 (0) | 2022.06.17 |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란 무엇이며 투자방향은? (0) | 2022.05.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