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9

도시형 생활주택 장단점 오피스텔 아파트와의 차이는? 2009년에 개정된 주택법에 근거하여, 늘어나고 있는 1,2인 가구를 커버하기 위해 등장하였으나 여전히 생소한 도시형 생활주택의 개념은 도대체 무엇이며 그에 따른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고 오피스텔과 비교해 봤을 때 어떤 점이 유리한지 또 주택수에 포함되는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전통적인 4인 가구와는 달리 1,2인 가구 수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나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 도심지에 과하지도 작지도 않은 적당한 규모를 가진 살만한 가격의 주택을 찾기는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그래서 등장한 개념으로 이는 한마디로 소형주택이다. 300세대 미만의 주거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는 제한을 두고 아파트의 장점과 오피스텔의 장점을 가지고 오려고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발코니를 서비스면적으로 허.. 2022. 5. 3.
국민주택규모 85제곱미터 이하 유래와 의미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에서 국민 평수 혹은 국민주택규모라고 하는 것은 아파트에서 공용 사용 공간을 제외한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를 가리키며 이것은 전통적인 4인 가족이 거주하기에 적합한 방 3개와 화장실 2개를 가진 적정한 아파트 구조를 뽑기 위한 면적을 의미한다. 주거전용면적 85제곱미터는 아파트 분양면적으로는 약 32평을 의미하며 부동산 관련 의미 있는 통계자료로서의 기준이 되는 평형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적정규모의 아파트를 분양받는 것으로 인정받아 많지는 않지만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국민주택규모 정의 통상 국민평수는 입으로만 회자되는 것이 아니라 법적으로 정확한 정의가 존재하는데 이는 주택법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택법 제2조 (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6. .. 2022. 5. 2.
오피스텔이 아파트보다 좁게 느껴지는 이유 최근 인수위원회에서 오피스텔과 소형 빌라는 주택수 산정에서 제외하겠다는 방침을 밝혀 오피스텔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오피스텔은 주거 및 업무용이라 아파트와 다르다는 것은 알겠는데 왜 다른 것이며 무엇이 가장 큰 차이일까? 왜 오피스텔 24평은 아파트 24평보다 한없이 좁게 느껴지는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근거하는 법률이 다름에 따라 분양면적의 차이가 발생하여 결정적으로 둘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근거법에 따른 분양면적 차이 오피스텔과 아파트는 용도가 다르다는 것 외에 근거 법령이 다르다는 명확한 차이가 존재한다. 오피스텔은 건축법을 따르고 아파트는 주택법을 따르기 때문에 둘은 비슷하다고도 볼 수 있지만 판이하게 다르기도 하다. 왜냐하면 건축법상으로 분양가 산정을 위한 분양면적.. 2022. 5. 2.